김 씨는 병상에서 가끔 "내가 왜 췌장암에 걸렸지?"라며 스스로 물어본다. 원인은 복합적이지만 30년 이상 피워온 담배도 악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의사도 "흡연은 췌장암 발생과 관련이 깊다"고 했다. 흡연이 폐암의 위험 요인이라는 것은 알고 있었지만 췌장암은 의외였다.
암 전문가들도 췌장암의 발생 원인을 아직 정확히 밝혀내지 못하고 있다. 여러 환경적 요인과 유전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다만 몇 가지 위험요인이 밝혀졌는데, 우선 지목되는 발암물질이 바로 담배이다.
흡연을 오래 하면 췌장암의 위험도를 5배까지 높인다. 췌장암의 3분의 1가량이 흡연이 원인일 정도로 담배와 밀접하다. 흡연과 관련된 암인 폐암, 두경부암, 방광암 등이 생겼을 때도 췌장암의 발생이 증가한다는 연구결과가 있다.
- 당뇨병, 만성 췌장염, 가족력 등도 위험 요인
당뇨병이 췌장암의 원인이 될 수도 있다. 5년 이상 당뇨를 앓고 있는 환자의 췌장암 발생률이 증가한다는 논문이 계속 나오고 있다. 반대로 췌장암과 연관된 2차적인 내분비 기능 장애가 당뇨를 일으킬 수 있다는 견해도 있다.
- 체중 감소를 어떻게 볼 것인가
췌장암은 초기에는 증상이 거의 없어 늦게 발견하는 경우가 많다. 예후가 나쁜 것도 다른 암에 비해 진단이 늦기 때문이다. 췌장암을 조기에 발견할 수 있는 혈액검사는 아직 없다. 증상으로는 복부 통증, 황달, 체중 감소, 소화 장애, 당뇨병 등을 꼽을 수 있다.
췌장암은 진단 몇 달 전에 체중 감소 및 말초 조직의 손실이 선행되기 때문에 이를 잘 규명하면 조기 진단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설명이다. 흔히 악액질(암과 연관된 심각한 체중 감소)은 암 관련 사망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고 알려져 왔다.
논문에서는 악액질 예방을 위해 말초 조직 손실을 억제해도 췌장암의 예후는 좋아지지 않았다고 했다. 이 연구결과(Altered exocrine function can drive adipose wasting in early pancreatic cancer)는 네이처(Nature)에 실렸다.
뚜렷한 이유 없이 몇 달에 걸쳐 체중이 감소하는 것은 췌장암 환자에게 흔히 나타나는 증상이다. 평소 체중 기준으로 10% 이상 줄어든다. 암이 생겨 췌액 분비가 적어지면서 흡수 장애와 식욕 부진 등이 겹치기 때문이다. 하지만 체중 감소가 본격적으로 나타나면 암이 상당히 진행된 경우가 많아 조기 진단에 도움이 되지 않을 수도 있다.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행복해지려면 어디에 돈을 써야 할까요? (0) | 2018.11.03 |
---|---|
그들은 왜 '200만원 아이폰'을 살까 (0) | 2018.11.03 |
화려한 빛으로 가득한 청계천…'서울빛초롱축제' 2일 개막 (0) | 2018.11.02 |
혈관 막는 고지혈증, 예방-치료법 (0) | 2018.11.02 |
볼거리·체험거리·먹거리 가득한 ‘11월의 잔치상 (0) | 2018.11.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