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석 부사장 "2020년까지 모든 삼성 디바이스 빅스비 지원"
래리 헥 전무 "차세대 AI 비서는 수억개 스킬 필요…유저가 프로그래밍"
삼성전자는 이날 서울 코엑스 인터컨티넨탈 호텔에서 '삼성 빅스비 개발자 데이'를 열고 이달 7∼8일 미국 샌프란시스코 '삼성 개발자 콘퍼런스'(SDC)에서 발표한 빅스비 관련 주요 내용을 국내 개발자에게 소개했다.
정의석 삼성전자 무선사업부 부사장은 "빅스비는 자유롭게 확장이 가능한 플랫폼"이라며 "2020년까지 삼성 모든 디바이스가 빅스비를 지원하고, 다른 회사에서 만든 디바이스라도 자사 IoT(사물인터넷) 플랫폼인 스마트씽스를 통해 연동하거나 빅스비를 탑재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다가오는 '인터렉션 패러다임'의 남다른 점은 인터렉션의 대상이 특정 기기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여러 디바이스로 확산한다는 것"이라며 "삼성전자가 디바이스 간 복잡성을 이해하는 AI 플랫폼을 지구상에서 가장 잘 만들 수 있다"고 자신했다.
스피커에 "오늘 날씨를 TV로 보여줘"라고 하면 TV가 상세한 정보를 보여주는 방식을 예로 들었다. 삼성전자는 매년 5억 대의 디바이스를 판매하고 있기 때문에 2020년이면 수십억대의 자사 디바이스가 빅스비로 연동돼 각각의 특성을 살린 사용자 경험을 선보일 것이라는 설명이다.
삼성전자가 올 초 영입한 래리 헥 전무(북미 AI 센터장) 역시 "구글에 있다가 삼성전자로 옮긴 이유가 삼성전자에는 다양한 디바이스가 존재한다는 점 때문"이라며 "범용 AI를 현실화하기 위해서는 이런 큰 생태계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래리 전무는 "제조사가 기본 AI 스킬을 만들고, 외부 개발자까지 참여하면 수만개의 AI 스킬이 생긴다"며 "하지만 차세대 AI 어시스턴트가 한 단계 더 나아가기 위해서는 수억개의 AI 스킬이 있어야 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유저가 직접 AI를 맞춤화하고, 이를 공유하는 '네트워크 효과'를 통해서 이 숫자를 달성할 수 있다. 그렇게 된다면 일반적인 태스크를 대부분 할 수 있는 범용 AI가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범용 AI는 1990년대 웹이 세계를 바꾼 것 같은 큰 변화를 가져올 것이라고 부연했다.
이날 행사에는 개발자 등 800여명이 참석해 빅스비에 대한 높은 관심을 반영했다. 빅스비 개발자 도구 활용 방법, 사용자 경험(UX) 설계, 개인화 서비스 구현, 망고플레이트 등 파트너사와의 협업 사례를 공유하는 세션도 마련됐다. 코드 랩 프로그램에서는 현장 개발자들이 빅스비 개발도구를 활용해 직접 개발 환경을 체험해볼 수 있다.
래리 헥 전무 "차세대 AI 비서는 수억개 스킬 필요…유저가 프로그래밍"
삼성전자는 이날 서울 코엑스 인터컨티넨탈 호텔에서 '삼성 빅스비 개발자 데이'를 열고 이달 7∼8일 미국 샌프란시스코 '삼성 개발자 콘퍼런스'(SDC)에서 발표한 빅스비 관련 주요 내용을 국내 개발자에게 소개했다.
정의석 삼성전자 무선사업부 부사장은 "빅스비는 자유롭게 확장이 가능한 플랫폼"이라며 "2020년까지 삼성 모든 디바이스가 빅스비를 지원하고, 다른 회사에서 만든 디바이스라도 자사 IoT(사물인터넷) 플랫폼인 스마트씽스를 통해 연동하거나 빅스비를 탑재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다가오는 '인터렉션 패러다임'의 남다른 점은 인터렉션의 대상이 특정 기기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여러 디바이스로 확산한다는 것"이라며 "삼성전자가 디바이스 간 복잡성을 이해하는 AI 플랫폼을 지구상에서 가장 잘 만들 수 있다"고 자신했다.
스피커에 "오늘 날씨를 TV로 보여줘"라고 하면 TV가 상세한 정보를 보여주는 방식을 예로 들었다. 삼성전자는 매년 5억 대의 디바이스를 판매하고 있기 때문에 2020년이면 수십억대의 자사 디바이스가 빅스비로 연동돼 각각의 특성을 살린 사용자 경험을 선보일 것이라는 설명이다.
삼성전자가 올 초 영입한 래리 헥 전무(북미 AI 센터장) 역시 "구글에 있다가 삼성전자로 옮긴 이유가 삼성전자에는 다양한 디바이스가 존재한다는 점 때문"이라며 "범용 AI를 현실화하기 위해서는 이런 큰 생태계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래리 전무는 "제조사가 기본 AI 스킬을 만들고, 외부 개발자까지 참여하면 수만개의 AI 스킬이 생긴다"며 "하지만 차세대 AI 어시스턴트가 한 단계 더 나아가기 위해서는 수억개의 AI 스킬이 있어야 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유저가 직접 AI를 맞춤화하고, 이를 공유하는 '네트워크 효과'를 통해서 이 숫자를 달성할 수 있다. 그렇게 된다면 일반적인 태스크를 대부분 할 수 있는 범용 AI가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범용 AI는 1990년대 웹이 세계를 바꾼 것 같은 큰 변화를 가져올 것이라고 부연했다.
이날 행사에는 개발자 등 800여명이 참석해 빅스비에 대한 높은 관심을 반영했다. 빅스비 개발자 도구 활용 방법, 사용자 경험(UX) 설계, 개인화 서비스 구현, 망고플레이트 등 파트너사와의 협업 사례를 공유하는 세션도 마련됐다. 코드 랩 프로그램에서는 현장 개발자들이 빅스비 개발도구를 활용해 직접 개발 환경을 체험해볼 수 있다.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평일로 건너온 막장극…'황후의 품격' 7.6% 출발 (0) | 2018.11.22 |
---|---|
20대가 文 떠나게 한 잔인한 통계 네 가지 (0) | 2018.11.21 |
“못 한다는 말, 못 하겠어요…” 시어머니 말 잘 거절하는 법 (0) | 2018.11.20 |
소박해도 힐링이 된다…연말에 떠나기 좋은 일본 여행지 (0) | 2018.11.19 |
관심 끄는 프리미엄 중저가폰-카메라 4개 ‘갤럭시A9’…갓성비 ‘포코폰’ (0) | 2018.11.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