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께 기조연설에 참가한 저스틴 데니슨 삼성전자 미국법인 상무는 '모바일 디스플레이 기술의 미래'라며 재킷 안주머니에서 접혀 있는 디스플레이를 꺼냈다. 바로 삼성전자의 '인피니티 플렉스 디스플레이'다. 이 디스플레이를 펼쳤을 때의 크기는 7.3형으로, 접으면 주머니에 들어가는 크기다.
데니슨 상무는 "인폴드, 아웃폴드, 롤러블, 그리고 당길 수 있는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까지도 향후 가능해질 것"이라며 "이번에 공개한 인피니티 디스플레이는 단순한 콘셉트가 아니며, 몇 달 후 대량 양산을 할 것"이라고 전했다. 폴더블 폰의 형태로 신제품이 출시되는 것이다. 삼성전자는 내년 1월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CES 2019'나 2월 스페인 바르셀로나 'MWC(모바일월드콩그레스) 2019'에서 별도 언팩(공개) 행사를 열고 폴더블폰을 출시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접는 디스플레이가 개발된 것은 이미 오래 전이다. 그러나 디스플레이를 접을 때마다 가해지는 충격 때문에 내구성이 매우 중요해 상용화가 쉽지 않았다. 저스틴 상무는 "이 디스플레이를 개발하기 위해 커버 윈도우의 글래스를 대신할 새로운 소재, 수십만번 접었다 펼쳐도 견디는 새로운 형태의 접착제를 개발했다"고 강조했다. 접었을 때도 슬림한 두께를 유지하기 위해 AMOLED 디스플레이 자체의 두께도 획기적으로 줄였다고 강조했다.
엣지 디스플레이 스마트폰, 스마트워치, 가상현실(VR)기기 등……. 삼성전자는 남들보다 앞선 기술력을 담은 하드웨어를 내놓으면서도 그에 걸맞은 소프트웨어나 콘텐츠가 부족하다는 비판을 자주 받았다. 폴더블 폰에 대한 철학을 SDC 2018에서 공개한 것도 바로 이 때문이다. 하드웨어를 내놓기 전에 개발자들에게 영감을 주고, 새로운 기기에 최적화된 콘텐츠들을 담겠다는 전략이다.
글로벌 제조사들이 폴더블 스마트폰 '최초' 타이틀을 두고 경쟁하는 가운데, 삼성은 새로운 기기를 출시하는 것 자체에만 집착하지 않겠다는 각오도 담겼다. 지난달 말에는 중국 제조업체 로욜이 실제 작동하는 제품인 '플렉스 파이'를 발표하면서 세계 최초 타이틀만 가져갔다. 다만 완성도가 높지 않아 업계의 관심은 삼성전자에 쏠렸다.
'미래를 만나는 곳'(Where Now Meets Next)이라는 주제로 올 해 다섯 번째로 진행된 삼성 개발자 콘퍼런스에는 전세계 개발자?서비스 파트너?디자이너 등 5000여명이 참석해 성황을 이뤘다. 사실상 세계 최초 '폴더블 폰'에 대한 윤곽을 잡을 수 있는데다
인공지능·사물인터넷(IoT)·게임·UX·헬스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루기 때문이다. 구글, 디즈니 등 글로벌 파트너들도 참여했다.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천 년 은행나무, 박문수 다리…수능 합격 기원 '수도권 도량' (0) | 2018.11.09 |
---|---|
시험 전 달걀 먹는 이유? 두뇌에 좋은 먹을거리 6 (0) | 2018.11.09 |
겨울엔 역시 '국물'… 농심·오뚜기·삼양, 신상 국물 라면 먹어 보니 (0) | 2018.11.08 |
역사적 저점 나스미디어 vs 인크로스, 시장의 선택은 (0) | 2018.11.08 |
“웃기면서 무섭다”…‘완벽한 타인’ 더 재밌게 보는 법 3 (0) | 2018.11.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