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시작부터 주가 떨어져 당황한 사람, 주식 갖고 있을지 팔지 계속 고민되는 사람, 전통적으로 주식 시장 좋은 시즌이 궁금한 사람.
이틀 간의 하락으로 코스피는 다시 2000 아래로 내렸다. 코스닥도 2017년 4분기 급등을 모두 반납했다.
이런 분위기 탓일까. 이맘 때 쯤 주식뉴스에 한창 등장했을 법한 단어 2개가 사라졌다. 바로 '산타 랠리'와 '1월 효과'다.
둘다 연말연초에 주가가 오를 때가 많다는 얘긴데, 작년말과 올해는 도무지 어울리지 않는다. 불과 1년 전인 2017년 말~ 2018년 초만 해도 꽤 큰 폭의 주가 상승이 있었는데, 1년 만에 상황이 정확히 반대가 됐다.
크리스마스를 전후해 연말과 신년 초에 주가가 강세를 보이는 현상. 미국에서 탄생한 단어로 크리스마스 즈음에 기업의 각종 보너스가 집중되고, 가족과 친지 선물 등 소비가 증가해 기업 매출이 늘어난다. 이를 기대해 주식을 사려는 사람도 많고 주가도 오를 때가 많다.
☞ 해가 바뀌면 막연히 주가가 오를거란 기대로 주식시장에 돈이 몰려 실제 주가도 오르는 현상. 이런 현상의 원인으로 각종 정부 정책이 1월에 발표되고, 그 해 경제에 대해 대체로 낙관적인 전망이 많기 때문임이 꼽힌다. 특히 중소형주가 오를 때가 많다.
두 단어 모두 미국에서 나왔다. 그럼 우리나라 주식시장에도 산타 랠리, 1월 효과가 있었을까? 지난 1999년부터 2018년까지 20년을 조사해봤다.
아래는 코스피, 코스닥으로 구분해 월별 평균 지수 상승률을 높은 순으로 세운 표다. 2개 지수, 1~12월까지 있으니 총 24개 경우가 나온다.
1등은 코스피 4월이다. 지난 20년 동안 한 달 상승률이 평균 2.8%였다. 즉, 4월은 대체로 주식시장이 좋았단 의미다.
1월과 12월을 보면 우선 코스피와 코스닥 모두 평균 상승률 '플러스(+)'를 기록했다. 코스닥의 1월 상승률은 전체 3등이고, 코스피의 12월 상승률은 7등이다.
다만 1월과 12월 모두 '최고의 한 달'로 부르긴 어렵다. 당장 4월의 경우 코스피는 전체 1등, 코스닥은 6등을 기록했다. 11월은 코스피 2등, 코스닥 4등이다. 3월 또한 코스피는 전체 5등, 코스닥은 9등을 기록했다. 3,4,11월 모두 1월과 12월보다 시장이 좋았다.
2010년 이후로만 한정하면 12월 평균 상승률은 -0.6%로 전체 19위에 해당한다. 코스피는 꽤 오랫동안 산타없는 12월을 보내고 있다.
이틀 간의 하락으로 코스피는 다시 2000 아래로 내렸다. 코스닥도 2017년 4분기 급등을 모두 반납했다.
이런 분위기 탓일까. 이맘 때 쯤 주식뉴스에 한창 등장했을 법한 단어 2개가 사라졌다. 바로 '산타 랠리'와 '1월 효과'다.
둘다 연말연초에 주가가 오를 때가 많다는 얘긴데, 작년말과 올해는 도무지 어울리지 않는다. 불과 1년 전인 2017년 말~ 2018년 초만 해도 꽤 큰 폭의 주가 상승이 있었는데, 1년 만에 상황이 정확히 반대가 됐다.
크리스마스를 전후해 연말과 신년 초에 주가가 강세를 보이는 현상. 미국에서 탄생한 단어로 크리스마스 즈음에 기업의 각종 보너스가 집중되고, 가족과 친지 선물 등 소비가 증가해 기업 매출이 늘어난다. 이를 기대해 주식을 사려는 사람도 많고 주가도 오를 때가 많다.
☞ 해가 바뀌면 막연히 주가가 오를거란 기대로 주식시장에 돈이 몰려 실제 주가도 오르는 현상. 이런 현상의 원인으로 각종 정부 정책이 1월에 발표되고, 그 해 경제에 대해 대체로 낙관적인 전망이 많기 때문임이 꼽힌다. 특히 중소형주가 오를 때가 많다.
두 단어 모두 미국에서 나왔다. 그럼 우리나라 주식시장에도 산타 랠리, 1월 효과가 있었을까? 지난 1999년부터 2018년까지 20년을 조사해봤다.
아래는 코스피, 코스닥으로 구분해 월별 평균 지수 상승률을 높은 순으로 세운 표다. 2개 지수, 1~12월까지 있으니 총 24개 경우가 나온다.
1등은 코스피 4월이다. 지난 20년 동안 한 달 상승률이 평균 2.8%였다. 즉, 4월은 대체로 주식시장이 좋았단 의미다.
1월과 12월을 보면 우선 코스피와 코스닥 모두 평균 상승률 '플러스(+)'를 기록했다. 코스닥의 1월 상승률은 전체 3등이고, 코스피의 12월 상승률은 7등이다.
다만 1월과 12월 모두 '최고의 한 달'로 부르긴 어렵다. 당장 4월의 경우 코스피는 전체 1등, 코스닥은 6등을 기록했다. 11월은 코스피 2등, 코스닥 4등이다. 3월 또한 코스피는 전체 5등, 코스닥은 9등을 기록했다. 3,4,11월 모두 1월과 12월보다 시장이 좋았다.
2010년 이후로만 한정하면 12월 평균 상승률은 -0.6%로 전체 19위에 해당한다. 코스피는 꽤 오랫동안 산타없는 12월을 보내고 있다.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맞벌이의 함정, 돈 관리 누가 해야할까 (0) | 2019.01.08 |
---|---|
얼음침대서 칵테일 한잔…이한치한 쿨한 겨울여행 (0) | 2019.01.07 |
'그것이알고싶다' 암수살인 조명, 맞춰지지 않는 퍼즐조각 (0) | 2019.01.06 |
호텔가 '겨울 효자' 딸기뷔페, 올해도 가격 올랐다 (0) | 2019.01.06 |
'주먹왕랄프2', 개봉 첫 土 관객 휩쓸었다..3일째 1위·50만 돌파 (0) | 2019.01.06 |